본문 바로가기

요가강사5

임신 중 수면자세와 이유, 수면 꿀팁 임신 중에는 수면자세도 바꾸어야한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보셨을거에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정말 꼭 바꿔야하는지 알아보아요! 임신 중기에서 말기까지의 기간에는등을 대고 똑바로누운 자세로 오랜시간 노출될 경우, ✔️자궁이 대정맥을 눌러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가는 것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서 혈액 순환 장애, 현기증, 메스꺼움, 숨가쁨, 다리 부종, 저혈압 등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또한 뱃속 아기에게 공급되는 산소를 부족하게 하여 아이를 위험에 빠트릴 수 있다고 연구에서는 전해집니다.그래서 보통은 똑바로 눕는 것 보다는 왼쪽으로 돌아누워 수면을 취하거나 눕도록 권하고 있습니다.음,,🫄저는 옆으로 수면자세를 취하는게 처음엔 허리도 쑤시고 다리도 아프고 정말 너무너무 힘들었는데요, 익숙해진건지 아기가 커져서 그런.. 2025. 1. 27.
임신 중 골반의 변화 및 통증 그리고 통증완화 스트레칭 임신 중 골격계 변화에 대해 알아보아요! 그 중 골반의 변화는 어떤지 알아봅니다 ^^➿ 임신 중 골반의 변화- 산모는 뱃속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산모의 전방으로 이동된 무게중심을 보상하고, 횡경막 아래쪽의 복벽을 넓혀 폐용량을 확보시키기 위해 골반의 전방경사가 증가한다. ➿ 증가된 골반 전방경사와 몸의 중심 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낙상을 막기 위해 고관절 신전근, 외전근 근육들의 과활성으로 엉덩이(환도)통증이 발생한다.❇️ 참고! 👉 환도는 엉덩이나 엉치뼈에 위치한 부위이며 임산부 환도는 이 부위에 발생하는 통증을 의미한다.이를 '임산부 환도선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 증상은 임신 3개월부터 시작되어 임신 중후반기에 자주 발생하며, 움직일 때마다 찌릿하거나 욱신거리는 통증이 특징이다.👉 환도는 임.. 2025. 1. 26.
임신 중 프로게스테론의 변화와 역할 임신 중 여성의 몸에는 어떤 변화들이 일어날까요! 이번에는 프로게스테론 호르몬 변화와 역할을 올려보아요! ❇️ 프로게스트론(Progesterone)👉 프로게스트론은 임신을 성공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호르몬으로서 자궁의 수축을 저하시켜유산이나 조산을 피하는데 필수적이다. 👉 임신기간동안 자궁 근육을 두텁게 유지시켜 배아의 착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 에스트로겐은 난소에서만 생성되는 반면 프로게스테론은 난소 뿐만 아니라 부신피질, 임신시 태반에서도 만들어진다.❇️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 프로게스트론은 태아가 생성되는 초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모유수유를 준비하는데 기여한다. 👉 대게 임신 11-12주쯤에 호르몬 양이 50% 증가하며 38주에 최대치로 증가한다.👉 자궁근육.. 2025. 1. 26.
임신 중 에스트로겐/ 에스트로겐의 기능 임신 중에 에스트로겐은 어떤 변화가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하게 될까요?✔️ 에스트로겐의 변화• 임신 중 에스트로겐 호르몬은 여성의 몸에서 다양한 변화를 일으키며, 이러한 변화는 임신 중 몸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임신 중 호르몬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며, • 특히 에스트로겐 호르몬은 임신 말기에 그 양이 크게 30배까지 증가한다. * 에스트로겐 종류: Estradiol, Estriol, Estrone, Esterol로 종류가 다양하며 임신 중에 양이 크게 증가한다.✔️ 자궁과 태아발달에 영향• 에스트로겐은 임신 중 자궁내막의 증가와 함께 자궁 및 태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 정상적인 자궁내막의 증가는 태아의 안정적인 발달을 지원하며, 출산 시 필요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도움을 준다. • 태아.. 2025. 1. 25.
임신 중 호르몬 변화 [인간 융모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 HCG] 여성이 임신을 하게 된다면 무엇부터 변화가 생길까요? 바로 호르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임신 중 호르몬 변화에 대해 올려보아요.:) 먼저 여성이 임신 전 임신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중요한 호르몬 2가지 먼저 소개해요!👉 첫번째! 황체형성 호르몬(Luteinizing.H /LH)• 여성의 뇌하수체에서 형성되어 난소를 성숙시키는데에 큰 역할을 한다. • 여포자극 호르몬(Follicle Stimulating.H)과 함께 생리주기를 조절한다. 👉 두번째 - 여포자극 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H)•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어 성호르몬 조절• 생식세포를 성숙시키는 단백질 호르몬 • 성장과 발달, 사춘기성숙(Pubertal maturation)등 인체의 생식주기를 담당• 생리주기 조절 및.. 2025. 1. 23.